본문 바로가기

DL 기본개념

[RNN, LSTM, GRU]

RNN : recurrent neural networks

순환 신경망으로 입력과 출력을 시퀀스 단위로 처리하는 방법

                                             : 순서가 있는 데이터

                                             ex) 시계열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다대일 모델링 : 입력 데이터가 시퀀스 (ex) 감성분석 : 텍스트데이터 => 감성 클래스 분류)

                                                                                 감성분석 : (sentiment analysis : opinion mining) : 태도, 의견, 성향 등 주괁적 데이터 분석 NLP

                                             -일대다 모델링 : 출력 데이터가 시퀀스 데이터 (ex) 이미지 캡셔닝 : 이미지데이터 => 텍스트 데이터)

                                             -다대다 모델링 : 입력, 출력 데이터 모두 시퀀스 데이터

                                                                                     (ex) 비디오 분류 : 비디오데이터 => 시간 순 비디오 분류라벨)

                                                                                     (ex) 번역 : 한 언어의 텍스트 데이터 => 다른 언어의 텍스트 데이터) //챗봇, 번역

 

sequence data

 

시퀀스 데이터는 MLP와 CNN이 처리할 수 없음 => 입력 샘플의 순서를 다루지 못하기 때문

                                                                               위 두 모델은 가중치가 샘플 처리 순서와 상관없이 업데이트됨

따라서 시퀀스 데이터는 일반 신경망 모델이 아닌 RNN 모델에서 처리할 수 있음


RNN 구조

기본 신경망에서는 정보를 입력층에서 은닉층으로 전달 후 출력층으로 전달

RNN,순환 네트워크에서는 은닉층이 입력층와 이전 타임 스텝의 은닉층으로부터 정보 전달받음 //2개의 입력 존재

                                         => 인접 타임 스텝의 정보가 은닉층에 존재해 네트워크가 이전 이벤트를 기억할 수 있음

recurrent neural network, convolution neural network

 1) 현재 입력층에서의 입력

 2) 같은 은닉층에서의 t-1 타입 스텝의 활성화 출력

2개의 입력 존재 : x(t) & h(t-1)

 

x = (입력값*해당층 가중치) 

       + (t-1 타임스텝 활성화 출력 * 전달 시 가중치)

 

BPTT : back propagation through time

             재귀적 형태의 모델을 시간에 대해 펼쳐서 현재 시점의 에러를 최초 시점까지 전파해 학습하는 모델

             back propagation의 확장

RNN의 문제점

-기울기 소실 : gradient vanishing (역전파 과정에서 입력층으로 갈 수록 기울기가 점차적으로 적어짐)

-기울기 폭주 : gradient exploding (기울기가 점점 커지는 과정에서 가중치들이 비정상적으로 큰 값이 되어 발산함)

 

위 RNN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T-BPTT와 LSTM

T-BPTT : truncated back propagation through time

LSTM : long short-term memory

 


LSTM : 바닐라 RN의 장기 의존성 문제의 보완모델

 

vanishing gradient problem 보완

RNN의 hidden state에 cell-state 추가한 구조

cell state : 일종의 컨베이어벨트 역할

은닉층 메모리셀에 삭제, 입력, 출력 게이트 추가

 

state가 오래 경과되더라도 gradient 전파가 수월

 

//필요하지 않은 기억은 지우고, 기억해야할 정보는 저장함

 

 

 

 

 

 

 

 

 

  1. 이전 시점 장기 기억 c(t-1)이 삭제 게이트를 지나 sigmoid 0/1 값에 따라 삭제 선택됨
  2. 삭제될 부분이 삭제된 장기기억 셀에 g(t)가 입력 게이트를 지나며 정해진 중요한 부분을 덧셈 연산을 통해 저장
  3. 만들어진 c(t)는 추가 변환 없이 바로 출력
  4. 2에서 만들어진 셀이 tanh함수로 전달되고 출력 게이트에 의해 걸러지며 다음 h(t) 단기 상태로 전달됨

 

 

 

 


https://casa-de-feel.tistory.com/40

1-1) 현재 시점의 입력 x와 이전 시점의 은닉 상태가 sigmoid 함수를 지남

그 결과 도출된 0/1 값에 따라 삭제 결정

1-2) i(t)를 통해 장기 상태 중 기억되어야할 부분을 제어

i(t) : 0 ~ 1

g(t) : -1 ~ 1

https://casa-de-feel.tistory.com/40

1-3) 장기상태인 C(t)는 C(t-1)의 삭제, 입력 게이트를 거쳐 만들어지는 셀

삭제 게이트 출력값 f(t) = 0이라면 C(t-1)값은 현재 시점 셀 상태값 결정을 위한 영향이 0이 되고

현재 시점의 셀 상태는 오직 입력 케이트 결과가 결정됨

반대로 삭제 게이트 출력값 입력 게이트 출력값이 0이라면 현재 시점 셀 상태값은 오직 이전 시점 셀 상태값인 C(t-1)에 의존함

즉, 삭제 게이트는 이전 시점 입력의 반영을 제어하며, 입력 게이트는 현재 시점 입력의 반영을 제어함

 

1-4) 출력 게이트는 위 그림의 o(t)로 제어되며 장기 상태의 어느 부분을 읽어 현재 시점의 h(t), y(t)로 출력해야할 지 제어

즉, 현재 시점 입력값 x와 이전 시점의 은닉상태값의 시그모이드 함수 둘을 지닌 값인 o(t)는 현재 시점의 은닉 상태를 결정함

은닉 상태 = 단기 상태

이 값은 출력 게이트 값과 연산되며 값이 걸러지며 다음 시퀀스에 전달되는 은닉 상태가 됨

 

위 cell state를 추가함으로써 LSTM은 RNN보다 긴 시퀀스 입력을 처리하는데 뛰어남


GRU : Gated Recurrent Units

기존 LSTM의 경우 cell state의 각 gate들을 통해 정보를 선택적으로 활용함

이는 시퀀스가 길더라도 gradient descent를 효과적으로 전파할 수 있음

forget gate : 과거 정보를 얼마나 반영할지

input gate : 현재 정보를 cell state에 얼마나 적용할지 결정

cell state update : f(t)와 C(t)를 통해 이전 시점의 cell 정보를 얼마나 유지할지 결정하여 현재 시점 cell 상태 update

                                ('과거에서 유지할 정보' + '현재에서 유지할 정보')를 가지고 현재 시점의 cell state update

output gate : 현 시점의 cell state를 가지고 출력함과 동시에 다음 hidden state로 넘김

 

GRU : 기존 LSTM의 구조를 더 간단하게 개선한 모델

'DL 기본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ject Detection 개념 정리 및 학습일지  (0) 2023.10.27
CV Task  (0) 2023.10.09
GAN, WGAN, WGAN-GP  (0) 2023.09.19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란?  (0) 2023.08.01
GAN 학습자료 정리  (0) 2023.07.27